Gallery 15
BIEAF2024 - Old Future
World Artist Invitation Exhibition
BIEAF Steering Committee announces BIEAF2024 participants. 390 artists were selected from 65 countries. The online exhibition will run from September 10, 2024 to February 28, 2025. During this period, offline exhibitions will be held at various galleries in Busan.
LEE Dong Gun
South Korea
개인 초대 개인전
20회
초대기획던260회
아트페어30회
현/한국미협.부산미협
또 다른꿈
53.0×45.5
LEE DONGWOO
South Korea
One fine day
39X91cm oil on canvas 2023
Lee Duli
South Korea
'의식의 흐름' 작품은 인간의 정신세계와 의식의 지속적인 변화를 중심으로 한다는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윌리엄 제임스의 말처럼, 의식의 흐름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균열과 간극 없이 진행된다고 했다. 이는 인간 내면세계에 주목하며, 예상하지 못한 생각의 조각들이 나타나고 사색, 기억, 회상을 통해 순간을 변화시키며 우리를 지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식의 흐름' 작업은 이러한 과정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무의식중에 발생하는 정신 세계를 자연스럽게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신의 생각, 경험, 감정을 비구상적인 표현 방법을 통해 구속되지 않는 영혼의 자유로 이끈다. 인위적이지 않은 의식의 흐름은 광활한 영역으로 배경을 채우고, 그 위에 또 다른 의식이 자유롭게 펼쳐지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는 내적 독백과 같은 상태에서 영감을 받아 그린 결과물로, 관람자에게는 자유로운 상상과 같은 체험을 전달하고자 한다.
'의식의 흐름' 작업은 단순히 시각적 요소를 넘어서, 인간 정신의 다양성과 변화를 표면적으로 전달하려는 노력과 의도를 담고 있다.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조형예술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심도 있는 미술연구를 위해 동 대학원 미술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사회적 경험으로는 한국인재개발평생교육원 원장을 역임하여 미술 및 다양한 분야의 강사 양성에 힘썼으며 성남미술협회 운영위원, 코리아아트페스타 운영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한국미술진흥원 KAPA미술연구소와 한국미술문화총연합회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소품서화대전 초대작가, 한국민채협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작업에서는 한국적인 미를 살린 동양적이고 신비스러운 표현을 추구하며 전통 재료인 한지를 주 재료로 활용하였다. 한지를 이용한 꼴라쥬, 입체 작업을 통해 한국미를 살린 추상회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개인전 및 단체전, 아트페어등 다양한 전시를 통해 선보였으며, 최근에는 ‘코리아아트페어’, ‘인천아시아드아트페어’, ‘싱가폴글로벌아트페어’ 및 ‘한국미술진흥원(KAPA)’ 등에 참여하여 대중과의 소통과 교감을 이어가고 있다. 작품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창작 열정을 통해 한국의 아름다움과 독창적인 정서를 담은 K-ART를 국제 미술계에 선보이기를 희망한다.
의식의 흐름
Stream of Consciousness
72.7 × 90.9cm mixed media on Hanji 2024
LEE GYEWOL
South Korea
"Eternal Bloom of Tradition"" beautifully captures the harmony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This photograph features traditional Korean jangdokdae (fermentation jars) adorned with blooming plum blossoms, symbolizing the continuity of time and the eternal beauty of nature. The jangdokdae, used for centuries in Korean culture, represent the wisdom of fermentation and preservation techniques. The plum blossoms symbolize the enduring beauty and resilience of nature.
This piece suggests that the wisdom and practices of the past hold significant value for the future. The jangdokdae and plum blossoms each embody the ways in which humanity has harmoniously lived with nature, demonstrating that such traditions can serve as valuable guides for sustainable living in the future.
"Eternal Bloom of Tradition""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respecting our heritage, highlighting that harmonious coexistence with nature is the true path to a sustainable future. This artwork emphasizes that acknowledging and honoring the legacy of the past is essential in creating an 'old future' that balances tradition and innovation. 2023년 6월 스마트폰 사진작가 단체전 2023년 10월 인도네시아 발리국제 사진전 2023년 12월 카메라 사진작가 단체전 2024년 1월 태국국제사진전/치앙마이 2024년 7월 ⌜춘풍 7인전⌟ 창동갤러리 사진전